1,327 0 0 0 1 0 8년전 0

현상학 : 시적 감각의 지성

이 책은 현상학과 예술의 관계를 지성과 감각의 연관성을 통해, 혹은 현상학의 지성적 논리와 예술작품의 감각적 논리 사이의 내적 유기성을 통해 규명한다. 그동안 산발적으로 막연히 다루어졌던 현상학과 예술작품 사이의 동근원성이 한 자리에서 구체의 작품들을 통해 보다 명확히 제시된 이 책에는 시와 회화와 소설에 내재한 철학의 침묵을 깨뜨리는 독해의 사건이 있다. 현대의 철학에서 미학은 철학의 한 분과가 아니라 심장이다. 이는 미의 문제가 진리의 외부 혹은 주변에서 중심으로 자리를 옮겼다는 것을 뜻한다. 철학의 쪽에서 보자면 자신의 시적 본질을 회복한 사태가, 그리고 예술의 쪽에서 보자면 자신의 철학적 본질을 회복한 사태가 될 이 이행의 기미는 따지고 보면 니체 이후 비합리주의의 통찰에 있었지만. 미학주의의 ..
이 책은 현상학과 예술의 관계를 지성과 감각의 연관성을 통해, 혹은 현상학의 지성적 논리와 예술작품의 감각적 논리 사이의 내적 유기성을 통해 규명한다. 그동안 산발적으로 막연히 다루어졌던 현상학과 예술작품 사이의 동근원성이 한 자리에서 구체의 작품들을 통해 보다 명확히 제시된 이 책에는 시와 회화와 소설에 내재한 철학의 침묵을 깨뜨리는 독해의 사건이 있다.

현대의 철학에서 미학은 철학의 한 분과가 아니라 심장이다. 이는 미의 문제가 진리의 외부 혹은 주변에서 중심으로 자리를 옮겼다는 것을 뜻한다. 철학의 쪽에서 보자면 자신의 시적 본질을 회복한 사태가, 그리고 예술의 쪽에서 보자면 자신의 철학적 본질을 회복한 사태가 될 이 이행의 기미는 따지고 보면 니체 이후 비합리주의의 통찰에 있었지만. 미학주의의 장애를 돌파하며 감각과 지성 사이의 균열을 봉합, ‘철학 같은 미학’ 혹은 ‘미학 같은 철학’의 수준에서 예술과 진리, 그리고 감각과 지성을 아우른 것은 후설에서 비롯한 현상학의 논리였다.
송석랑
충남에서 출생. 대전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동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충남대학교 대학원에서 <존재의미의 해석학적 사실성에 수반하는 언어의 변형과 전(前)합리성의 문제: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목원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최근의 논문으로, <현상학의 글로컬리티와 파토스>(2012, ≪philosophy & Culture≫ vol, 25), <명예의 정치성과 현상학적 대안>(2011, ≪동서철학연구≫ 60호), <일상사의 방법론과 해석학적 현상학: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를 위한 고찰>(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49집) 등이 있으며, 저서로 <언어와 합리성의 새 차원: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2003, 충남대출판부), ≪메를로-뽕띠의 철학: 존재와 예술과 진리의 현상학≫(2005, 문경출판사)이 있다. 번역한 책으로 ≪하이데거의 존재의 역사와 언어의 변형≫(1996, 자작아카데미), ≪정신과학입문≫(2009. 지식을 만드는 지식)이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